본문 바로가기

수학/수리통계학

수리통계학 (50) - 완비충분통계량

지난 글에서는 충분통계량의 성질에 대해 써보았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완비충분통계량에 대해 써보겠습니다.

 

우선 이번 논의에서 활용되는 개념인 완비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.

어떤 연속확률변수 $ X $ 와 이의 확률밀도함수 $ f_X(x;\theta) $ 가 주어졌다고 해보겠습니다.

그리고 위의 함수에 포함된 모수 $ \theta $ 는 $ \Theta $ 라는 집합을 구성하는 원소 중 하나라고 가정하겠습니다.

그렇다면 모수의 값에 따라 서로 다른 확률밀도함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이들 함수를 모두 모아놓은 집합 $ \left\{ f_X(x;\theta)|\theta \in \Theta \right\} $ 를 $ X $ 의 분포족(family of distribution)이라고 부릅니다.

그런데 어떤 분포족은 모수 $ \theta $ 에 관련해서 특별한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.

예컨대, $ E[u(X)]<\infty $ 를 만족하는 모든 종류의 함수 $ u(X) $ 에 대해 아래의 관계식이 항상 성립한다고 해보겠습니다.

$ E[u(X)]=0 $ for all $ \theta \in \Theta $ $ \Rightarrow $ $ P(u(X)=0)=1 $

위와 같은 관계식을 만족하는 $ X $ 의 분포족은 $ \theta $ 에 대한 완비성을 충족한다고 합니다.

그리고 어떤 확률변수의 분포족이 완비성을 충족하면, 이 확률변수는 완비통계량(complete statistic)이라고 부릅니다.

한편, 어떤 통계변수가 완비성과 충분성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면 이를 완비충분통계량이라고 합니다.

완비충분통계량은 MVUE를 구하기 위한 결정적인 단서가 됩니다.

이하에서는 그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.

 

우선 iid한 확률변수 $ X_1,X_2,...,X_n $ 이 공통의 확률밀도함수 $ f(x;\theta) $ 를 가진다고 해보겠습니다.

그리고 확률변수 $ Y $ 가 $ \theta $ 에 대한 완비충분통계량임을 가정하겠습니다.

한편, $ \theta $ 에 대한 임의의 불편추정량 $ Z $ 가 충분통계량의 함수로 주어지지 않았다고 한다면

이를 라오-블랙웰 정리에 따라 더 효율적인 불편추정량 $ \eta(Y)=E[Z|Y] $ 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.

이제 $ Y $ 의 함수로 주어지는 서로 다른 불편추정량 $ \eta(Y), \zeta(Y) $ 가 존재한다고 해보겠습니다.

이들은 $ \theta $ 의 불편추정량이므로 임의의 모수 $ \theta \in \Theta $ 에 대해 아래 식이 성립합니다.

$ E[\eta(Y)-\zeta(Y)]=E[\eta(Y)]-E[\zeta(Y)]=\theta-\theta=0 $

또한 $ Y $ 가 완비통계량임을 활용하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$ E[\eta(Y)-\zeta(Y)]=0 $ for all $ \theta \in \Theta $ $ \Rightarrow $ $ P(\eta(Y)-\zeta(Y)=0)=1 $

따라서 $ \eta(Y) $ 와 $ \zeta(Y) $ 는 거의 확실히 서로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다시 말해, $ Y $ 의 함수로 주어지는 $ \theta $ 의 불편추정량은 유일합니다.

결론적으로, $ Y $ 의 함수가 아닌 불편추정량은 라오-블랙웰 정리를 통해 항상 개선할 수 있는 한편

$ Y $ 의 함수인 불편추정량은 유일하므로 상기한 $ \eta(Y) $ 는 $ \theta $ 에 대한 MVUE가 됩니다.(레만-셰페 정리)

 

한편, 레만-셰페 정리를 통해 구한 MVUE는 항상 유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.

그렇다면 MVUE가 존재할 때마다 항상 유일할 것인가 하는 질문도 할 수 있습니다.

일단 위 질문에 대한 답은 항상 그렇다입니다. MVUE가 존재하다면 항상 유일합니다.

우선 어떤 모수의 완비충분통계량이 존재한다면 상기한 레만-셰페 정리가 MVUE의 유일성을 담보해줍니다.

그런데 완비충분통계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MVUE는 항상 유일합니다.

 

MVUE의 유일성은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습니다.

우선 $ \eta,\zeta $ 가 $ \theta $ 의 서로 다른 MVUE라고 해보겠습니다.

이때, 추정량 $ \kappa $ 를 $ \kappa:=\eta+\lambda(\zeta-\eta) $ 와 같이 정의하겠습니다.

$ \kappa $ 는 $ \theta $ 의 불편추정량이 됩니다.

왜냐하면 $ E[\kappa]=E[\eta+\lambda(\zeta-\eta)]=\theta+\lambda(\theta-\theta)=\theta $ 식이 성립하기 때문입니다.

이제 $ \kappa $ 의 분산을 계산해보겠습니다.

$ Var(\kappa)=Var(\eta+\lambda(\zeta-\eta))=Var(\eta)+\lambda^2 Var(\zeta-\eta)+2\lambda Cov(\eta,\zeta-\eta) $

만약 $ Cov(\eta,\zeta-\eta)=0 $ 이 성립한다면 $ Var(\kappa)=Var(\eta)+\lambda^2 Var(\zeta-\eta) $ 식이 성립하고

위 식의 $ \eta $ 는 MVUE이므로 $ Var(\zeta-\eta)=0 $ 이 성립합니다.

한편, $ Cov(\eta,\zeta-\eta) $ 가 0이 아니라고 해보겠습니다.

이 경우에는 $ \lambda=-Cov(\eta,\zeta-\eta)/Var(\zeta-\eta) $ 를 가정하면 아래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$ Var(\kappa)=Var(\eta)-[Cov(\eta,\zeta-\eta)]^2 / Var(\zeta-\eta) $

따라서 $ Var(\kappa) < Var(\eta) $ 가 성립하고 이는 모순이 됩니다.

위의 사실들을 종합하면 $ Var(\zeta-\eta)=E[(\zeta-\eta)^2]=0 $ 의 식을 얻게 됩니다.

만약 $ P(\zeta-\eta=0)=1 $ 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르베그 적분의 단조성 때문에 $ E[(\zeta-\eta)^2]>0 $ 의 부등식이 성립해야 합니다.

이는 모순이 됩니다. 따라서 MVUE는 거의 확실하게 유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이제 MVUE를 구하는 과정을 요약해보고 글을 마치겠습니다.

Step 1. 주어진 모수의 완비충분통계량을 찾습니다.

Step 2. 모수에 의존하지 않는 불편추정량을 찾습니다.

Step 3. 상기한 불편추정량을 라오-블랙웰 정리에 따라 완비충분통계량의 함수로 나타냅니다.

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MVUE를 찾을 수 있습니다.

 

한편, 위의 과정에서 불편추정량을 찾는 한 가지 방법은 다름 아닌 최우추정량을 구하는 것입니다.

사실 최우추정량 $ \hat{\theta} $ 이 유일할 경우, 이는 반드시 $ \theta $ 의 충분통계량의 함수로 주어집니다.

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 만약 $ \theta $ 의 충분통계량을 $ Y $ 라고 한다면

우도함수 $ L(\theta) $ 는 네이만 인수분해 정리에 따라 $ L(\theta)=f_Y(y;\theta)H(x_1,x_2,...,x_n) $ 의 식으로 표현됩니다.

그렇다면 최우추정을 위한 추정방정식은 $ \hat{\theta}=\underset{\theta}{\text{argmax}}\, L(\theta)=\underset{\theta}{\text{argmax}}f_Y(y;\theta) $ 와 같이 다시 쓸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최우추정량이 유일하다면, 이는 충분통계량 $ Y $ 의 함수로 주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또한 최우추정량은 점근적으로 불편성을 충족하므로, 적절한 보정을 통해 불편추정량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.

 

이번 글에서는 완비충분통계량에 대해 써보았습니다.

다음 글에서는 지수족 확률분포의 완비통계량에 대해 써보겠습니다.